Linear algebra and linear system - Linear Dynamic Statem and State Transition Matrix

Linear Dynamic System and modeling

이번 장에서는 선형 시스템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.

$\dot{X}(t)=A(t)X(t)+B(t)u(t)$

$Y(t)=C(t)X(t)+D(t)u(t)$

$X(t) \in R^n$

$u(t) \in R^p$

$Y(t) \in R^q$

A,B,C,D 는 continuous한 행렬입니다.


$cos \theta = 1$

$sin \theta = \theta$

$\dot{\theta} = 0$

와 같이 선형화 시킵니다. 이때 $\dot{\theta} = 0$ 은 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가능합니다.

$x_1(t)\triangleq x(t)$

$x_2(t)\triangleq \dot{x}(t)$

$x_3(t)\triangleq \theta(t)$

$x_4(t)\triangleq \dot{\theta}(t)$

와 같이 정의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.

$\dot x_1 = x_2$

$\dot x_2 = \frac{1}{Ml}(lu-mlgx_3)$

$\dot x_3 = x_4$

$\dot x_4 = \frac{1}{ML}(-u+(M+m)gx_3)$

앞에서 정의한 식을 위에서 표현한 선형 시스템처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Exitence and Uniqueness of the Solution

$\dot{X}(t)=A(t)X(t)+B(t)u(t)$

$Y(t)=C(t)X(t)+D(t)u(t)$

$X(t) \in R^n$

$u(t) \in R^p$

$Y(t) \in R^q$

$X(t_0)=t_0$

다음과 같은 시스템에서 해를 구하는 것은 Initial Value Problem을 푸는 것과 똑같다.

우리는 다음 두가지를 생각해야 한다.

  • 미분 방정식이 주어지면 해가 존재할까
  • 해가 존재하면 그 해가 유일할까

입력 u를 생각하지 않고 먼저 $\dot{X}=A(t)X$ 와같이 입력이 없는 시스템에서 먼저 생각해보자. 시스템은 초기값 $x(t_0)=x_0$ 과 모델에 의해서만 결정된다.

$A(t)$ 행렬이 t에 대해서 연속이면 구간 I 에서 항상 해가 존재하고 유일하다.

pf 1.)

양변을 적분하면 다음 적분방정식을 얻는다

$x(t)-x(t_0)=\int_{t_0}^{t}A(\tau)x(\tau)d\tau$

$x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(\tau)d\tau$


다음 수열을 생각해보자

$x^0(t)=x_0$

$x^1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^0(\tau)d\tau$

$x^2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^1(\tau)d\tau$

$\vdots$

$x^{k+1}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^k (\tau)d\tau$

일반화 하면 다음과 같다.

$x^{k}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_0d\tau + \int_{t_0}^{t}A(\tau_1)\int_{t_0}^{\tau_1}A(\tau2)x_0 d\tau_2 d\tau_1 \cdots$

$x_0$ 는 상수여서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합니다.

$x^{k}(t)=[I + \int_{t_0}^{t}A(\tau)d\tau + \int_{t_0}^{t}A(\tau_1)\int_{t_0}^{\tau_1}A(\tau2) d\tau_2 d\tau_1 \cdots ]x_0$

k가 무한으로 가면 수렴하는걸 보이기 위해서 간격이 무한히 작아지는 걸 다음과 같이 보인다

$x^{k+1}(t)-x^k(t)=\int_{t_0}^{t}A(\tau)(x^k(\tau)-x^{k-1}(\tau))d\tau$

여기에 놈을 취하면

$\lVert x^{k+1}(t)-x^k(t)\rVert \le \int_{t_0}^{t}\lVert A(\tau)(x^k(\tau)-x^{k-1}(\tau))\rVert d\tau $
$\le \int_{t_0}^{t} \lVert A(\tau) \rVert \lVert (x^k(\tau)-x^{k-1}(\tau)) \rVert d\tau $
$\le \beta \int_{t_0}^{t} \lVert(x^k(\tau)-x^{k-1}(\tau))\rVert d\tau $

이때 $\lVert A(\tau) \rVert \le \beta$

또한

$\lVert x^{1}(t)-x^0(t) \rVert = \int_{t_0}^{t}\lVert A(\tau)x_0 d\tau\rVert$
$\le \beta \lVert x_0 \rVert \int_{t_0}^{t}d\tau = \beta \lVert x_0 \rVert t-t_0 $

이므로 식을 계속 대입해 나가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.

$\lVert x^{k+1}(t)-x^k(t) \rVert \le \beta^{k+1} \lVert x_0 \rVert \frac{1}{(k+1)!} t-t_0 ^{k+1}$

$\forall t \in I$ 에 대해 k가 무한히 커지면 0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

$x^k(t)$ 가 $x(t)$ 로 수렴하는 것을 알았고 $x^k(t)$ 는 t에 대해서 연속하다는 것 또한 알고있다.

과연 $x(t)$ 는 연속인가 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보려고 한다.

우선 다음의 두 성질을 가진다.

$\forall \epsilon , \exists \delta$ st

$ \tau - t \le \delta \Rightarrow x^k(t)-x^k(t) \le \epsilon$



$x^k(t)\rightarrow x(t)$ uniformly converge

    $\Updownarrow$

$\forall \epsilon , \exists N$ st $k\ge N$

$ x^k(t)-x(t) \le \epsilon$

과연 $x(t)$ 는 연속인가?

$\forall \epsilon , \exists \delta$ st

$ \tau-t \le \delta\Rightarrow x(\tau)-x(t) \le \epsilon$

이때 앞에 설명한 두 성질에서 모든 $\epsilon$ 에 대해 만족하므로 $\frac{\epsilon}{3}$ 에서 구한 $\delta,N$ 을 생각한다.

두번째 성질에서 구한 N을 첫번째 성질로 가져와서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.

$ \tau - t \le \delta \Rightarrow x^N(t)-x^N(t) \le \frac{\epsilon}{3}$

이 성질을 가지고 앞의 식을 잠시 바꿔본다면

$ x(\tau)-x(t) \le x(\tau)-x^N(\tau) + x^N(\tau)-x^N(t ) + x^N(t)-x(t) \le \frac{\epsilon}{3}+\frac{\epsilon}{3}+\frac{\epsilon}{3}=\epsilon$

이 되고 연속임을 알 수 있다.



pf 2.) 해의 유일성

$x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x(\tau)d\tau$

$y(t)=x_0 + \int_{t_0}^{t}A(\tau)y(\tau)d\tau$

다른 y가 있다고 가정하고

$x(t)-y(t) = \int_{t_0}^{t}A(\tau)(x(\tau)-y(\tau))d\tau$

위 식에 놈을 취하면

$\lVert x(t)-y(t) \rVert \le \beta \int_{t_0}^{t} \lVert (x(\tau)-y(\tau)) \rVert d\tau $

0 일 수 밖에 없다. 예를 들면

$ f(t) \le \beta \int_{t_0}^{t}f(\tau) d\tau$ 가 있고
$max f(t) = \alpha > 0$ 라고 가정한다면
$ f(t) \le \beta\alpha t-t_0 $ 가 되고 위 식에 대입하면
$ f(t) \le \beta^2\alpha \frac{ t-t_0 ^2}{2}$

$\vdots$

계속 해가면 값이 계속 작아져 0이 됨을 알 수 있다. 즉 모순이며 $f(t) = 0$


State Transition Matrix

$x^{k}(t)=[I + \int_{t_0}^{t}A(\tau)d\tau + \int_{t_0}^{t}A(\tau_1)\int_{t_0}^{\tau_1}A(\tau2) d\tau_2 d\tau_1 \cdots ]x_0$

앞에서 말했던것처럼 위 식에서 k가 무한대로 커지면 solution이 된다. 다시 말하면 solution은 초기값에 어떤 행렬을 곱한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.

이때 ‘어떤 행렬’ 을 ([]안에 있는 것)

$\Phi(t,t_0)$ 와 같이 표현하고 state transition matrix라 한다.

$x(t)=\Phi(t,t_0)x_0$

state transition matrix의 첫번째 colum의 의미는 초기값이

$(1 0 0 0 \dots)^T$ 일때의 해 를 의미한다.


미분을 하면 다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.

$\frac{d}{dt}\Phi(t,t_0) = [ \frac{d}{dt} \phi_1(t,t_0),\frac{d}{dt} \phi_2(t,t_0) \cdots ]$

$=[ A(t)\phi_1(t,t_0), A(t)\phi_2(t,t_0), \cdots] = A[ \phi_1,\phi_2,\cdots]$

$=A(t)\Phi(t,t_0)$



$\Phi(t_0,t_0) = I$ 가 되는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.

업데이트: